WOD 성격이 출석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문제 정의 & 가설 수립
문제
6월 2일 ~ 6월 28일 사이, 크로스핏 박스에서 제공한 WOD가 회원들의 출석률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함.
가설
•
고난도 기술이 포함되면 출석률이 낮아질 것이다.
•
바벨이 포함된 날보다 맨몸 위주의 WOD일 때 출석률이 높을 것이다.
•
팀 WOD는 출석률을 높일 수 있다.
•
히어로 WOD는 출석률을 낮출 수 있다.
2. 사전 정보
기준 | 키워드 예시 |
바벨 포함 | squat, deadlift, press 등 |
고난도 기술 | snatch, overhead squat, muscle-up 등 |
맨몸 운동 | push-up, burpee, run 등 |
팀 WOD | team, partner 등 |
히어로 WOD | Murph, Hero WOD 등 |
3. 데이터
•
출석 데이터: 날짜별 출석자 리스트
•
WOD 데이터: 요약 설명 → 키워드 기반 분류 (Boolean 값으로 변환)
•
출석자 수를 기준으로 각 요소별 평균 출석률 분석
4. 결과
단일 요소 분석
Feature | Absent (0) | Present (1) | Diff |
바벨 | 40.5 | 36.8 | -3.7 |
고난도기술 | 38.4 | 35.8 | -2.6 |
맨몸 | 39.9 | 36.6 | -3.3 |
팀WOD | 35.0 | 39.6 | +4.5 |
히어로WOD | 38.5 | 13.0 | -25.5 |
조합 분석 ① 고난도기술 + 팀WOD
고난도기술 | 팀WOD | 출석자 수 |
0 | 0 | 35.9 |
0 | 1 | 42.3 |
1 | 0 | 32.7 |
1 | 1 | 37.3 |
조합 분석 ② 바벨 + 맨몸
바벨 | 맨몸 | 출석자 수 |
0 | 0 | 39.5 |
0 | 1 | 41.0 |
1 | 0 | 40.0 |
1 | 1 | 36.0 |
5. 인사이트
1. 고난도 기술(Hard Skill)은 출석을 낮추는 주요 요인
•
고난도 기술이 포함된 날의 평균 출석자는 35.8명으로, 미포함일 때(38.4명)보다 낮았습니다.
•
특히 고난도 기술 + 팀 WOD이 없는 경우 출석률은 32.7명으로 최저치를 기록.
•
회원 입장에서 기술적 자신감 부족이나 운동 피로도에 대한 부담감이 출석 회피로 이어질 수 있음.
•
인사이트: 고난도 기술은 평일 낮/이른 시간대에 분산 배치하거나, 레벨별 스케일 조정이 필요.
2. 히어로 WOD는 출석률에 치명적인 영향
•
Hero WOD가 포함된 날의 평균 출석자는 13.0명으로, 평균보다 25명 이상 낮았습니다.
•
Murph와 같은 고강도, 긴 시간의 WOD는 부담감 → 회피로 연결.
•
인사이트:
◦
Hero WOD는 매주 또는 격주의 이벤트 데이로 편성하거나
◦
기부형 커뮤니티 이벤트/챌린지와 연계해 참여 유인 장치 필요
3. 팀 WOD는 출석률을 상승시키는 요인
•
팀 WOD가 포함된 날 평균 출석자는 39.6명, 미포함일 경우 35.0명.
•
특히 고난도 기술이 없는 상태에서 팀 WOD만 있을 경우, 출석률 최고치 42.3명 기록.
•
인사이트:
◦
팀 기반 활동은 심리적 진입 장벽 완화 + 소속감 강화
◦
초보자 클래스나 금요일 저녁 등 출석률이 떨어지는 시간대에 배치하면 효과적
4. 바벨 & 맨몸 조합은 오히려 출석률을 떨어뜨릴 수 있음
•
바벨과 맨몸이 동시에 포함된 날의 출석자는 평균 36.0명으로 비교적 낮은 수치.
•
Barbell 또는 Bodyweight만 있는 경우는 각각 40.0명, 41.0명으로 더 높음.
•
인사이트:
◦
복합 피로도가 높은 WOD는 적절한 간격과 세트 수 조정 필요
◦
"기술 + 볼륨"이 함께 나오는 날은 부하 조절 설명 강조 또는 2-Track WOD 제공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