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석 주제 및 목적
최소의 데이터를 가지고 해석의 여지가 가장 많은 분석을 해보자!
•
카테고리별 검색어에 대한 관심도를 요일별 주기성과 월별 계절성을 분석해봅시다!
•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게요
카테고리 목록
2. 가설 설정
•
경험 기반으로 가설 여러 개를 만들어 볼까요?
카테고리 | 클릭량 많은 요일 | 클릭량 적은 요일 | 클릭량 많은 달 | 클릭량 적은 달 |
패션의류 | ||||
패션잡화 | ||||
화장품/미용 | ||||
디지털/가전 | ||||
가구/인테리어 | ||||
출산/육아 | ||||
식품 | ||||
스포츠/레저 | ||||
생활/건강 | ||||
여가/생활편의 |
•
가설1) 식품 카테고리는 일요일에 가장 관심이 많을 것이다
→ 한 주를 계획하기 시작하는 요일이 일요일이라 이번 주에 먹을 음식을 찾아보려고!
•
가설2) 스포츠/레저는 3월과 9월에 가장 관심이 많을 것이다
→ 각각 겨울과 여름이 끝나고 이제 선선해 질 타이밍이니까! 스포츠/레저를 미리 계획하기 위해?
•
또 어떤 가설들이 있을까요?
3. 데이터 출처
•
데이터 소스: 네이버 data lab
•
데이터 기간: 2024년 5월 24일 ~ 2025년 5월 24일
◦
총 1년 치
4. 결과
4-1. 요일별 주기성 (Weekly Cycle)
전반적으로,
•
대부분 카테고리에서 월요일 클릭량이 가장 높고, 주말(특히 토요일)에 가장 낮은 주기성 관찰됨!
⇒ 주초 강세, 주말 약세
•
다만, 패션 카테고리(패션의류, 패션잡화)는 일요일에 최고 클릭량, 금요일에 낮은 패턴
요일별로 나눠보면,
•
월요일: 대부분 카테고리에서 주중 최고치
◦
주말동안 미뤄둔 쇼핑을 월요일에 몰아서 하거나, 주중 배송을 받으려는 심리
◦
또 다른 참고자료
•
주중 초반(화~금): 금요일에 크게 감소
◦
주말을 앞두고 온라인보다는 오프라인 활동 증가
◦
빠른 배송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주말의 배송 지연을 피하기 위해
•
토요일: 거의 모든 카테고리에서 주간 최저 클릭량 기록
◦
외출이나 여기 등 오프라인 활동
•
일요일: 토요일 저점을 지나, 다시 클릭량 상승
◦
패션분야는 특히 최고치
▪
주말 여가시간에 쇼핑 즐기 or 일요일 밤에 다음 주 출근/등교를 위한 의류 구매 경향
4-2. 월별 계절성 (Monthly Seasonality)
•
패션의류: 10월 최고, 2월 최저
?
•
패션잡화: 7월 최고, 1월 최저
?
•
화장품/미용: 7월 최고, 3월 최저
?
•
디지털/가전: 9월 최고, 4월 최저
?
•
가구/인테리어: 10월 최고, 5월 최저
?
•
출산/육아: 11월 최고, 5월 최저
?
•
식품: 9월 최고, 5월 최저
?
•
스포츠/레저: 10월 최고, 1월 최저
?
•
생활/건강: 9월 최고, 5월 최저
?
•
여가/생활편의: 7월 최고, 3월 최저
?
4-3. 카테고리별 인사이트 요약
카테고리 | 클릭량 많은 요일 | 클릭량 적은 요일 | 클릭량 많은 달 | 클릭량 적은 달 |
패션의류 | 일요일 | 금요일 | 10월 | 2월 |
패션잡화 | 일요일 | 금요일 | 7월 | 1월 |
화장품/미용 | 월요일 | 토요일 | 7월 | 3월 |
디지털/가전 | 월요일 | 토요일 | 9월 | 4월 |
가구/인테리어 | 월요일 | 토요일 | 10월 | 5월 |
출산/육아 | 월요일 | 토요일 | 11월 | 5월 |
식품 | 월요일 | 토요일 | 9월 | 5월 |
스포츠/레저 | 월요일 | 토요일 | 10월 | 1월 |
생활/건강 | 월요일 | 토요일 | 9월 | 5월 |
여가/생활편의 | 월요일 | 토요일 | 7월 | 3월 |
전략/인사이트 | 적용 타이밍 또는 조건 | 활용 아이디어 및 예시 |
월요일 집중 마케팅 | 대부분 카테고리 클릭량 피크 (월요일) | 타임세일, 신규 캠페인 런칭, 푸시 메시지 집중 |
토요일 비효율 고려 | 클릭량 최저 (대부분 카테고리) | 핵심 프로모션은 회피, 대신 콘텐츠 소비형 메시지 활용 |
카테고리별 최적 시간대 전략 | - 패션: 일요일 밤
- 가전: 평일 낮
- 식품/생활: 주초 오전 | 푸시 메시지 시간대 분산 운영 (예: 패션 푸시는 일요일 밤 9시) |
계절성 기반 캠페인 스케줄링 | 성수기 전 1~2개월 | - 화장품: 6~7월 집중- 식품: 추석 직전- 레저: 가을 대비 캠페인 |
비수기 보완 전략 | 1~2월, 5월 등 클릭량 저조 구간 | 재고정리 프로모션, 타 카테고리 크로스 딜, 이색 상품 큐레이션 |
탐색-구매 시차 고려 리타겟팅 | 탐색은 주말, 구매는 평일로 분리되는 카테고리 | 장바구니 유입 후 월요일 리마인드 푸시 또는 할인 유도 |
감정 기반 쇼핑 타이밍 | 월요일 스트레스 해소, 금요일/토요일 회피 경향 | ‘자기 보상’ 메시지 활용, 감성형 문구로 푸시 개인화 |
배송 회피에 따른 구매 조절 | 주말 주문 지연 우려 | 배송일 강조, ‘지금 주문 시 평일 도착 보장’ 등 문구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