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교보문고 연간 베스트탭으로 보는 이모저모

결과물 제출 여부
발표 참불
참여
일정
회원

배경

음악 혹은 패션 모두 트렌드가 명확한 편인데, 과연 도서에도 트렌드의 변화가 있었을지 궁금해서 선택한 주제
교보문고 기준 지난 10년 년간 베스트탭 1-100위 데이터를 가지고 이것저것 살펴봅니다.

분석

2015년 ~ 2024년 연간 베스트탭 기준 1위 작품들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부분: 2016년에 채식주의자가 1위 였다. (2016년 맨부커상 수상 영향이 아니었을까!)
2015년(인문), 2023년(자기계발)을 제외하고는 소설과 시/에세이 부문에서 교보문고 연간 베스트1위
참고

년도별 TOP3 분야

100위 권 내 해당 분야의 갯수 기준(개인적으로 아쉬운 점은 전체 도서에서 해당 분야가 차지하는 수 중 100위 권 안에 드는 수를 기준으로 잡았다면 더 정확한 비교를 할 수 있었을 듯한데 저네 모수를 알기 어려움)
2015년~2019까지는 소설, 시/에세이, 인문 부분이 주였으나, 2020년부터 경제/경영 부문이 확 늘어난 것 확인 ⇒ 코로나 시기, 비트코인과 주식 관심도가 올라갔던 것의 영향이 아닐까 추정

연도-분야별 평균 판매가 추이

연도-분야별 평균 판매가 추이(lineplot) → 당연히 베스트탭에 포함되는 도서 종류, 도서 두께(페이지 수)에 따른 차이가 있겠지만 생각보다 등락이 있어서 놀람
인문,경제/경영 부문이 전체적으로 금액대가 높은 걸 확인
특히 경제/경영 부문의 경우 최건 4년 간은 꾸준히 판매가가 높아지는 추세

Q.코로나를 기점으로 변한 부분이 많은데, 독서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는가? 재미로 보는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

H0: 코로나와 독서 분야는 독립이다.(=코로나 전후로 독서분야에는 차이가 없다.)
H1: 코로나와 독서 분야는 독립이 아니다.(=코로나 전후로 독서분야에는 차이가 있다.)
파이썬으로 빨아만든 기대값 관측값
검정 통계 결과 Chi Square: 63.94034211668411 p-values : 0.0000004652
p-value 0.05 미만으로 귀무가설 기각! 코로나 전후로 독서 분야에 차이가 있다. 통계분석들 너무 오랜만이라 절 믿을 수가 없기 때문에 재미로만 봐보는 걸로..

결론(이라 쓰고 요약 이라 읽는다..)

지난 10년 간 교보문고 연간 베스트100 기준, 주로 소설과 시/에세이 부문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간간히 인문, 자기계발), 2020년부터 경제/경영 부문이 우세해졌음을 확인
다만,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으로 소설 분야가 압도적으로 높아진 것 또한 확인된다. ⇒ 도서 부문 소비는 생각보다 사회 흐름(사건?이벤트?)의 영향을 생각보다 많이 받는다.(코로나 영향(주식 등 투자 분야 관심 증가 영향-이건 뇌피셜), 맨부커상, 노벨 문학상 수상 등)
인문,경제/경영 부문이 전체적으로 소설, 시/에세이, 자기계발 분야에 비해 전반적으로 도서 판매금액 금액대가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