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석 주제 및 목적
•
주제
◦
24년 3월부터 주 3회 이상 헬스장에 다니기 시작했다. 운동을 열심히한 부작용으로 입맛이 팽팽 돌아증량이 되기도하고;; 등산도 다니고 마라톤 10K도 완주했다. 전혀 흥미가 없었던 등산, 마라톤에 참여한걸 보면 운동에는 흥미가 생긴게 맞는데 일상 생활이 크게 달라진지는 체감을 못하는 중이다.
•
목적
◦
일상 생활을 하면서도 매일 애플워치를 차고 다녔기 때문에 아이폰 ‘건강’앱에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과연 정말로 체력이 증진되었을지 확인해 보려 한다.
•
가설
◦
친구들과 함께 등산을 가면 확실히 숨을 덜 차는게 비교되면서 체력이 늘었다고 느꼈다. 최대 산소 섭취량과 1분 후 심박수 회복 속도가 헬스장 다니기 전후 시점으로 비교했을 때 개선되었을 것이다.
◦
스쿼트 100개할 때 속도가 빨라지고 힘듦의 강도가 완화됐다. 신체 활동 강도(Physical Effort)와 활동 에너지 소모량(Active Energy Burned)이 헬스장 다니기 전후 시점으로 비교했을 때 개선되었을 것이다.
2. 결과
1. 운동량 증가 분석
•
활동 에너지 소모량 증가 여부
◦
헬스장 전 월별 평균 소모 칼로리 : 453.19
◦
헬스장 후 월별 평균 소모 칼로리 : 619.98
•
HKQuantityTypeIdentifierPhysicalEffort(신체 활동 강도) 변화
◦
지표 뜻
▪
사용자가 하루 동안 전신을 사용하는 활동에 소요한 시간을 측정하는 양적 데이터 유형
▪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활동 시간을 기록
▪
운동 중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의 신체 활동도 포함하여 측정
◦
단위
▪
kcal/hr·kg : 체중 1kg 당 1시간 동안 소비한 칼로리
▪
고강도 운동일 수록 값이 커짐
▪
Physical Effort (kcal/hr·kg)의 특성상 개별 값이 순간적인 측정치이기 때문에 평균값으로 강도 변화 확인하려면 흐름으로 보기
◦
월별 신체 활동 강도 변화 시각화
◦
헬스장 전 월별 평균 신체 활동 칼로리 : 3.55
◦
헬스장 후 월별 평균 신체 활동 칼로리 : 3.87
•
헬스장 전 시간대 별 신체 활동 시각화
◦
헬스장 전 운동시간대 평균 신체 활동 강도 : 4.14
◦
헬스장 전 일상생활 신체 활동 강도 : 3.30
•
헬스장 후 시간대 별 신체 활동 시각화
◦
헬스장 후 운동시간대 평균 신체 활동 강도 : 3.98
◦
헬스장 후 일상생활 신체 활동 강도 : 3.38
3. 데이터 출처 및 코드
•
데이터 출처: 본인 아이폰 ‘건강’ 앱